최근 3개월간 4명의 애널리스트가 렌딩클럽(NYSE:LC)을 분석한 결과 강세부터 약세까지 다양한 관점이 제시됐다.
아래 표는 최근 30일간의 투자의견 변화와 이전 달과의 비교를 보여준다.
| 강력매수 | 매수 | 중립 | 매도 | 강력매도 | |
|---|---|---|---|---|---|
| 전체 의견 | 1 | 3 | 0 | 0 | 0 |
| 최근 30일 | 1 | 1 | 0 | 0 | 0 |
| 1개월 전 | 0 | 0 | 0 | 0 | 0 |
| 2개월 전 | 0 | 0 | 0 | 0 | 0 |
| 3개월 전 | 0 | 2 | 0 | 0 | 0 |
애널리스트들이 제시한 12개월 목표주가는 평균 18달러로, 최고 22달러에서 최저 15.50달러 범위다. 이는 이전 평균 목표가 15달러에서 20% 상향된 수준이다.

최근 금융전문가들의 렌딩클럽에 대한 평가를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래는 주요 애널리스트들의 최근 평가와 목표가 조정 내용이다.
| 애널리스트 | 소속 | 투자의견 변화 | 투자의견 | 현재 목표가 | 이전 목표가 |
|---|---|---|---|---|---|
| 레지널드 스미스 | JP모건 | 상향 | 비중확대 | 22.00달러 | 17.00달러 |
| 빈센트 케인틱 | BTIG | 상향 | 매수 | 18.00달러 | 16.00달러 |
| 브래드 카푸찌 | 파이퍼 샌들러 | 상향 | 비중확대 | 15.50달러 | 13.00달러 |
| 티모시 스위처 | 키페 브루엣 우즈 | 상향 | 아웃퍼폼 | 16.50달러 | 14.00달러 |
이러한 애널리스트 평가는 다른 재무지표와 함께 렌딩클럽의 시장 위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렌딩클럽은 온라인 대출 마켓플레이스 플랫폼을 운영하며 차입자와 투자자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플랫폼은 투자자들에게 일반적으로 접근이 제한적이었던 자산군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개인대출, 교육대출, 의료금융, 소상공인대출, 자동차대출 등 다양한 대출 상품을 제공하며, 주 수익원은 은행 파트너사를 대신해 대출 심사를 진행하고 받는 거래 수수료다.
시가총액: 업계 평균 대비 낮은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성장 전망이나 운영 역량 등의 요인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매출 성장: 2025년 6월 30일 기준 3개월간 매출은 32.68% 증가했다. 이는 금융 섹터 내 경쟁사 대비 높은 성장률이다.
순이익률: 15.37%의 순이익률로 업계 평균을 상회하며, 효율적인 비용 관리와 높은 수익성을 보여주고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 2.76%의 ROE는 업계 평균을 하회하며, 주주 자본 활용의 효율성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총자산이익률(ROA): 0.36%의 ROA는 업계 평균 이하로, 자산 활용의 효율성 제고가 요구된다.
부채 관리: 부채비율 0.02로 업계 평균 이하의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