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고위 경제 관료들이 무역협정 초안을 마련하는 중대한 진전을 이뤘다. 이 협정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최종 승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합의로 100% 관세 부과와 중국의 희토류 수출통제가 중단되고, 미국의 대중국 대두 수출이 재개될 전망이다.
이번 무역협정은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린 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논의됐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11월 1일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중국 수입품에 대한 트럼프의 100% 관세 부과 위협이 해소됐다고 밝혔다.
베센트 장관은 또한 중국이 희토류 광물과 자석에 대한 허가제도 시행을 1년 연기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측은 협상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자제했으나, 베센트 장관은 목요일로 예정된 정상회담 구도에 대해 자신감을 표명했다.
그는 11월 10일 만료 예정인 대중국 관세 유예 기간이 연장되고, 중국의 미국산 대두 구매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 대표는 양측이 일부 제재 조치를 중단하기로 합의했으며, "중국으로부터 더 많은 희토류를 확보하고 미국의 수출을 통해 무역적자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았다"고 밝혔다.
중국 측 수석 협상가인 리청강은 양측이 '예비적 합의'에 도달했으며, 이제 각자 내부 승인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은 한국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목요일에 만나 최종 조건을 확정할 예정이다.
이번 무역협정은 양대 경제 강국 간 장기화된 무역 갈등을 완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이 합의로 관세 부과 확대가 중단될 뿐 아니라, 무역전쟁으로 큰 타격을 받았던 미국의 대중국 대두 수출도 재개된다.
또한 이번 합의는 기술 산업의 핵심 자원인 희토류 광물에 대한 중국의 입장 변화를 보여준다. 이 협정의 최종 타결은 미중 간 무역 관계 개선의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