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중국증시 무료 강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138869df34f779414285673a7181b19c50.jpg)

미 하원 공화당이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와 연비 규제 완화를 골자로 한 법안을 발의했다. 이는 자동차 업계의 대규모 투자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주요 내용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하원 세입위원회는 화요일 청문회에서 신차 구매시 7500달러, 중고차 구매시 4000달러의 세액공제를 올해 12월 31일부로 종료하는 법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다만 전기차 판매량이 20만대에 미달한 자동차 업체에 대해서는 신차 세액공제를 1년 연장하기로 했다.
이 법안은 배터리 생산 세액공제는 유지하되, 2027년부터 중국 기업의 부품이나 중국 기술 라이선스를 사용한 차량에 대해서는 세액공제를 금지하는 조항을 추가했다. 이는 중국 배터리 기술을 활용하는 포드와 테슬라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대규모 자금 지원이 결정된 첨단 기술 차량 대출 프로그램의 미집행 자금도 회수하기로 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포드-SK온 합작사에 96.3억달러, 스텔란티스-삼성SDI 합작사에 75.4억달러, 리비안에 65.7억달러가 지원될 예정이었다.
시장 영향
전기차운송협회의 제네비브 컬렌 회장은 이번 제안이 "치명적으로 근시안적"이라고 비판하며, 중국 등 경쟁국에 "엄청난 시장 우위"를 안겨주고 미국 내 제조업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은 최근 "EV 세액공제 프로그램을 살리는 것보다 폐지할 가능성이 더 크다"고 언급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 인센티브 프로그램이 향후 10년간 2000억달러의 비용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너럴모터스와 포드 등 주요 미국 자동차 업체들은 트럼프 행정부에 세액공제를 즉시 폐지하기보다 단계적으로 축소할 것을 촉구했다. 12개 주에 걸친 '배터리벨트'의 일자리가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미국은 이미 20만개의 전기차 관련 일자리 창출을 위해 약 2000억달러를 투자하기로 약속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