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 Benzinga
이번주 방송스케쥴

시장 불안을 안정적 수익으로 전환하는 JEPI·JEPQ의 현금흐름 전략

Chandrima Sanyal 2025-05-22 01:27:36
시장 불안을 안정적 수익으로 전환하는 JEPI·JEPQ의 현금흐름 전략

시장 변동성과 거시경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투자 전략을 찾고 있다. 2024년 들어 옵션 수익형 ETF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JP모건자산운용의 두 상품이 주목받고 있다.


JP모건 에쿼티 프리미엄 인컴 ETF(NYSE:JEPI)와 JP모건 나스닥 에쿼티 프리미엄 인컴 ETF(NASDAQ:JEPQ)는 올해 들어 92억 달러 이상의 신규 자금을 유치했다.



강력한 자금 유입과 급성장


ETFGI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3년 전 출시된 JEPQ ETF는 올해(4월 30일 기준) 57억 달러를 유치하며 올해 자금 유입 상위 20개 ETF에 이름을 올렸다. etf.com에 따르면 JEPQ의 선배격인 JEPI도 1분기에만 28억 달러의 자금이 유입되는 등 강한 투자 수요를 보이고 있다.


운용자산(AUM) 기준으로 JEPI는 현재 400억 달러에 육박하고 있으며, JEPQ는 255.3억 달러를 넘어섰다. 이는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우려하는 수익 추구형 투자자들 사이에서 옵션 수익 전략이 인기를 끌고 있음을 보여준다.



옵션 수익형 ETF의 이해


JEPI와 JEPQ는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한다. 이들 펀드는 주식 포트폴리오에 투자하고 해당 주식에 대한 콜옵션을 매도한다. 콜옵션 매도로 얻은 프리미엄은 수익원이 되어 월배당 형태로 투자자들에게 지급된다.


이 전략에는 단점이 있다. 꾸준한 현금흐름을 제공하지만 상승 잠재력이 제한될 수 있다. 기초자산이 크게 상승할 경우 펀드가 매도한 콜옵션으로 인해 전체 수익이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자본이득보다 수익에 중점을 둔 투자자들에게는 기존의 채권이나 고배당 주식 포트폴리오를 대체할 매력적인 전략이다.



JEPI와 JEPQ의 주요 차이점


두 펀드는 유사한 접근방식을 사용하지만 시장 초점과 포트폴리오 구성이 다르다.


JEPI는 S&P 500 지수 중심의 미국 대형주에 선별 투자한다. 변동성이 낮은 가치주에 투자하며 종목 선정 시 ESG 요소를 고려한다. 또한 주식 연계 채권(ELN)을 활용하는데, 이는 주식 기반 구조화된 지급금이 있는 채무상품으로 펀드의 최대 20%까지 투자된다.


반면 JEPQ는 애플(NASDAQ:AAPL), 마이크로소프트(NASDAQ:MSFT), 테슬라(NASDAQ:TSLA), 엔비디아(NASDAQ:NVDA), 알파벳(NASDAQ:GOOGL) 등 나스닥 100 지수의 성장주에 초점을 맞춘다. JEPI처럼 ELN을 활용해 커버드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며, 기술주 중심 지수보다 변동성을 낮추면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고자 한다.



투자자 시사점


JEPI와 JEPQ의 매력은 주식시장의 전체 변동성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꾸준한 수익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강세장에서는 상승폭이 제한될 수 있지만, 옵션 프리미엄을 통한 상당한 월배당 창출 잠재력으로 은퇴자, 보수적 투자자,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추구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다.


전통적인 채권 수익률이 계속 부진하고 주식시장이 변동성을 보이는 가운데, 옵션 기반 수익형 ETF는 위험, 수익, 안정적 배당 사이의 균형을 맞추며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 변동성 장세에서 안정적인 운용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JEPI와 JEPQ는 주목할 만한 투자 대안이 될 수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