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알파픽 추가 100명 모집](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27a6b5bf8630e44aac8102dfce6f5d94d7.jpg)
![[블랙퀀트에쿼티] 런칭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1965a36b8591c0415a8027b51a310b4881.jpg)
![[블랙퀀트에쿼티] 공개방송 일정](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192d97e7aebad84428be3d2e073e6fbeac.png)
![[박준석]차이나는 기회](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0490127707fa1042eda00fcf1d11687a87.jpg)
![[이을수] 미국 ETF 한방에 끝내기 VOD](https://img.wownet.co.kr/banner/202505/20250523ba9d39248d5247a9b67a04651daebc55.jpg)
![[블랙퀀트에쿼티] 나스닥 셀렉션](https://img.wownet.co.kr/banner/202506/2025061761937cada68743dca576f88b6193a265.jpg)
오늘날 급변하는 경쟁 치열한 비즈니스 환경에서 투자자와 업계 관계자들의 신중한 기업 평가가 필수적이다. 이 기사에서는 애플(NASDAQ:AAPL)과 하드웨어·스토리지·주변기기 업종 내 주요 경쟁사들을 종합적으로 비교 분석한다. 주요 재무지표, 시장 입지, 성장 잠재력을 상세히 분석해 기업의 업계 내 실적을 조명한다.
애플은 소비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광범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를 보유한 세계 최대 기업 중 하나다. 아이폰이 매출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맥·아이패드·애플워치 등 다른 제품들은 아이폰을 중심으로 한 광범위한 소프트웨어 생태계의 일부로 설계됐다. 애플은 스트리밍 비디오, 구독 번들, 증강현실 등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추가해왔다. 자체 소프트웨어와 반도체를 설계하고 폭스콘, TSMC 등 하청업체와 협력해 제품과 칩을 생산한다. 애플 매출의 절반 미만이 직영점을 통해 발생하며, 대부분은 파트너십과 유통망을 통한 간접 판매다.
기업명 | P/E | P/B | P/S | ROE | EBITDA(십억달러) | 매출총이익(십억달러) | 매출성장률 |
---|---|---|---|---|---|---|---|
애플 | 32.37 | 46.47 | 7.89 | 37.11% | 32.25 | 44.87 | 5.08% |
슈퍼마이크로컴퓨터 | 25.65 | 4.42 | 1.38 | 1.72% | 0.14 | 0.44 | 19.48% |
휴렛팩커드엔터프라이즈 | 19.69 | 1.13 | 0.86 | -4.4% | 0.87 | 2.17 | 5.87% |
웨스턴디지털 | 21.86 | 4.30 | 1.44 | 5.86% | 0.28 | 0.91 | 30.94% |
넷앱 | 18.82 | 20.55 | 3.39 | 33.42% | 0.43 | 1.19 | 3.84% |
퓨어스토리지 | 145.32 | 14.51 | 5.83 | -1.1% | 0.04 | 0.54 | 12.26% |
이스트만코닥 | 12.44 | 0.86 | 0.51 | -1.66% | 0.02 | 0.05 | -0.8% |
터틀비치 | 19.46 | 2.40 | 0.80 | -0.55% | 0.0 | 0.02 | 14.42% |
평균 | 37.61 | 6.88 | 2.03 | 4.76% | 0.25 | 0.76 | 12.29% |
애플에 대한 상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가수익비율(P/E)은 32.37로 업계 평균 대비 0.86배 낮아, 합리적인 가격에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주가순자산비율(P/B)은 46.47로 업계 평균의 6.75배에 달해, 장부가 대비 고평가된 것으로 보인다.
주가매출비율(P/S)은 7.89로 업계 평균의 3.89배를 기록해, 매출 실적 대비 고평가 가능성이 있다.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7.11%로 업계 평균보다 32.35% 높아, 효율적인 자본 운용을 보여준다.
EBITDA는 322.5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129배를 기록해, 강력한 수익성과 현금창출 능력을 보유했다.
매출총이익은 448.7억 달러로 업계 평균의 59.04배에 달해, 핵심 사업의 높은 수익성을 입증했다.
매출성장률은 5.08%로 업계 평균 12.29% 대비 저조해, 판매 환경이 도전적임을 시사한다.
부채자본비율(D/E)은 기업의 부채가 순자산 대비 어느 정도인지 보여주는 지표다.
부채자본비율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리스크 프로필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준다.
애플과 상위 4개 경쟁사의 부채자본비율을 비교한 결과:
애플은 1.47의 부채자본비율로 상위 4개 경쟁사 중 중간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부채와 자본이 균형잡힌 재무구조를 보여준다.
하드웨어·스토리지·주변기기 업종에서 애플은 경쟁사 대비 낮은 P/E로 저평가 가능성을 보이나, 높은 P/B와 P/S는 고평가 요인이다. 높은 ROE, EBITDA, 매출총이익은 강력한 수익성을 보여주지만, 낮은 매출성장률은 업계 대비 더딘 성장세를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