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 메인
  • NEWS
이번주 방송스케쥴

아마존, 로봇 자동화로 초강세장 이어간다

Oliver Rodzianko 2025-07-03 10:15:00
아마존, 로봇 자동화로 초강세장 이어간다

아마존(AMZN) 주식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경영진은 수익성 확대를 위한 전방위적 접근법을 채택했으며, 이에 따라 향후 수년간 주당순이익(EPS) 성장률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장기적으로 로봇 사업부문이 성장을 주도할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로봇과 그 사회적 활용은 아마존의 수익성 확대를 뒷받침하는 결정적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아마존을 매출 성장 기업에서 수익성 성장 기업으로 전환시키며, 향후 지속적인 초과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필자는 아마존 주식에 대해 매우 강한 매수의견을 제시한다.


더 나아가 로봇 기술은 블레이드 러너와 같은 미래 세계를 열어갈 것으로 보인다. 로봇과 자율 기계가 TV처럼 일상화될 전망이다. 향후 10년간 로봇 기술은 특히 물류, 제조, 소매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력이 소비자들의 높아진 효율성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기업들은 생존을 위해 자동화를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커머스와 물류 분야의 글로벌 리더인 아마존은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고 확대하기 위해 로봇 기술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어, 초기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을 안겨줄 것으로 전망된다.



로봇 기술 선도하는 아마존


다른 기업들이 5~10년 후에야 로봇 기술 확보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마존은 이미 선도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경영진은 AI를 넘어 하드웨어 수준까지 자동화 경쟁력을 구축하며 새로운 시대에 맞춰 운영 체계를 재정비하고 있다.


모건스탠리(MS)는 아마존이 2030년까지 연간 100억 달러의 비용 절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뱅크오브아메리카(BAC)는 이보다 더 낙관적으로 2032년까지 연간 160억 달러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러한 비용 절감은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비용 감소는 월가가 기업가치 산정의 핵심 지표로 삼는 주당순이익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현재 아마존의 물류센터는 '수만 대'의 로봇이 가동되고 있으며, 이들은 창고 간 제품 이동, 팔레트 적재, 상품 분류 및 배송 준비 과정의 추적 등을 수행하고 있다.


아마존은 전 세계적으로 약 75만 대의 이동형 로봇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문량의 약 75%를 부분적으로 자동화했다. 이 수치는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전망이다. 월마트(WMT), 알리바바(BABA), 쇼피파이(SHOP) 등 주요 경쟁사들도 아마존의 로봇 기술에 한참 뒤처져 있는 상황이다.



아마존 주주들의 밝은 미래


현재 아마존 주가는 50주 이동평균선을 크게 상회하는 높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사상 최고치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어, 전반적인 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밸류에이션은 합리적인 수준으로 평가된다. 현재 주가수익비율은 3.55배로 5년 평균인 3.33배를 소폭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러한 매출 중심에서 수익성 중심으로의 전환은 아마존 규모의 기업에게는 성숙한 전략적 단계를 의미한다. 이는 제프 베조스가 수립한 장기 비전과 완벽하게 일치한다. 초기에 공격적으로 규모를 확대한 후 사업이 성숙기에 접어들면 수익성을 최적화한다는 전략이다. 현재 재무제표를 보면 아마존 경영진이 이 계획을 효과적으로 실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익 전망 확대와 로봇 기술의 잠재력을 고려할 때, 아마존 주식에 약간 더 프리미엄을 지불하더라도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워런 버핏이 강조했듯이, 저평가된 부실 기업보다는 적정가격의 우량 기업이 훨씬 더 나은 투자가 될 수 있다.


향후 12개월 목표주가는 260달러로 전망되며, 이는 현재 주가 대비 약 20%의 상승 여력을 의미한다. 이는 후행 12개월 정규화 EPS 7달러와 2026년 더 강한 거시경제 여건을 반영해 현재 35배에서 소폭 상승한 37.5배의 선행 P/E를 적용한 것이다.



아마존 주가 전망


월가에서 아마존은 47개의 매수, 1개의 보유, 0개의 매도 의견을 받으며 강력 매수 의견을 받고 있다. 월가의 평균 목표주가는 243.32달러로, 향후 12개월간 11%의 상승 여력을 시사한다. 이는 필자의 260달러 목표치보다는 낮지만, 월가의 최고 목표가가 305달러인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준이다.


장기적으로 아마존은 매우 견고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장기 투자 수익률은 주로 성장이 가속화되는지 둔화되는지에 따라 결정되는데, 아마존의 경우 자동화를 통한 수익성 확대 가능성이 매우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인 성숙기 기업의 비용 최적화와는 달리, 아마존의 로봇 기술과 AI 투자는 전통적인 규모의 경제를 넘어서는 효율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요약하면, 지금은 아마존에게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투자자들은 방관자로 남아있지 않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높은 초과수익 기대되는 아마존


현재 아마존에 대해 낙관적이지 않기는 어렵다. 전설적인 창업자와 세계적 수준의 경영진을 보유한 아마존은 지속적으로 최고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는 리더십을 보여주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훌륭한 기업은 훌륭한 경영진에 의해 만들어지며, 아마존은 분명히 이에 부합한다.


결론적으로 향후 12개월간 11%의 예상 상승률은 충분히 달성 가능하며, 거시경제 여건이 개선된다면 이를 상회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장기적으로 로봇 기술은 수익성 확대를 위한 강력하고 과소평가된 촉매제로 작용할 것이다. 시장이 아직 그 영향을 완전히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동안, 아마존은 조용히 다른 기업들이 따라잡기 어려운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