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금협회(World Gold Council)가 발표한 연중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금값은 2025년 하반기에도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금값이 연초 대비 26% 상승한 가운데, 지정학적 리스크 지속, 중앙은행의 꾸준한 수요, 미 달러화 약세가 상승을 견인할 주요 동력으로 분석됐다. 7월 15일 발표된 보고서는 "경제학자들과 시장의 예상대로라면 금값은 횡보하거나 소폭 상승하는 수준이겠지만, 글로벌 경제 여건이 악화될 경우 10~15% 추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2025년 들어 미 달러화는 연초 대비 약 9% 하락했다. 증권가는 이러한 하락세의 원인을 미국 예외주의에서 신흥국 경제의 회복력으로 시장 심리가 이동한 데서 찾고 있다. 동시에 특히 아시아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은 2022년의 기록적인 수준보다는 다소 둔화되겠지만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는 고가로 인한 소비자 수요 약화와 금 재활용 증가를 상쇄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있다. 지정학적 불안정성은 계속해서 금의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