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126bb8576d3d3c4456b79ff60c17fd393b.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지난주 금요일 주식시장은 강한 상승세로 마감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JIA)는 1.53%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S&P 500 지수는 5월 이후 최고 상승폭을 보이며 주간 0.27% 상승했다. 대형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100 지수는 AI 관련주의 5거래일 연속 매도세 영향으로 금요일 강세에도 불구하고 주간 0.90% 하락했다.
하락세가 이어지는 동안 투자자들은 방어주와 수익성이 높은 저성장 종목으로 관심을 돌리면서 다우지수가 상대적 강세를 보였다. 그러나 증권가는 이러한 변화가 아직 이르다고 경고했다. 약세장의 전통적인 신호인 필수소비재 강세가 하락장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VIX 지수도 역사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신호들을 바탕으로 골드만삭스는 모멘텀 주식의 매수를 권고했다.
파월 연준 의장이 통화정책 변화 가능성을 시사하자 금요일 투자자들은 급격한 하락이 없었던 종목까지 매수에 나섰다. 파월 의장은 '단기 인플레이션 위험이 상방에 있다'고 언급하며 금리 인하를 직접적으로 약속하지는 않았지만, 위험 균형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정당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인정했다. 주식시장은 이를 상승랠리 지속의 신호로 해석했다.
▣ 엔비디아(NVDA)는 중국 정부가 자국 기술기업들에 대해 미국산 프로세서 사용 중단 압박을 강화하면서 H20 AI칩 생산을 중단했다. H20칩은 미국 수출통제 하에서 허용된 가장 고성능 엔비디아 제품으로, 알리바바, 텐센트, 바이두, 딥시크, 바이트댄스 등의 AI 플랫폼에 핵심적이다. 엔비디아는 TSMC, 삼성전자, 앰코, 폭스콘 등 공급업체들에 미국 수출 승인을 기다리는 동안 생산 중단을 지시했다.
▣ 메타플랫폼스(META)는 알파벳의 구글(GOOGL)과 100억 달러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계약을 체결했다. 6년간의 계약을 통해 메타는 구글 클라우드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킹 등을 활용할 예정이다. 한편 블룸버그는 애플(AAPL)이 시리 음성비서 개편을 위해 구글의 제미니 AI를 사용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 팔란티어(PLTR) 주가는 시트론 리서치의 비판적 보고서 발표 후 하락했다. 시트론은 분기 매출 10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강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기업 가치가 펀더멘털과 괴리됐다고 지적했다.
▣ 인텔(INTC)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CHIPS Act 지원금을 지분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미국 정부가 약 10% 지분을 확보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주가가 상승했다. 인텔은 또한 소프트뱅크에 20억 달러 규모의 지분을 매각할 예정이다.
▣ 마이크론(MU)과 TSMC(TSM)는 미국 정부가 CHIPS Act 자금 지원의 대가로 지분 확보를 추진하지 않을 것이라는 소식에 주가가 상승했다.
▣ 타겟(TGT)은 매출과 EPS가 예상을 상회했지만 기저 사업 우려로 주가가 하락했다. 고객 거래 건수와 평균 거래액이 감소하며 동일매장 매출이 전년 대비 하락했다.
▣ 월마트(WMT)는 2022년 이후 처음으로 분기 EPS가 예상을 하회했다. 매출은 예상을 상회했고 미국 내 동일매장 매출도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법적 비용과 구조조정 비용으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2025년 2분기 실적 시즌이 마무리되어 가는 가운데 이번 주에도 주목할 만한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이번 주 하이라이트는 8월 27일로 예정된 엔비디아(NVDA)의 실적 발표다. AI 관련주의 고평가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실적과 가이던스가 시장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몽고DB, 옥타,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스노우플레이크, 비바 시스템즈, 애질런트, HP, 퓨어스토리지, 뉴타닉스, 델 테크놀로지스, 마벨, 오토데스크, 룰루레몬 애슬레티카, 울타뷰티, 딕스 스포팅 굿즈 등이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라이온델바젤, 아트모스 에너지, 스카이웍스 솔루션스, 존슨앤드존슨, 넥스트에라 에너지, 다우, 크래프트 하인즈, 타이슨 푸드 등이 배당락을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