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영향으로 전반적인 경제 안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시장 심리가 위축된 상황이다. 글로벌 제약사 사노피(NASDAQ:SNY)가 이를 뼈저리게 경험했다. 긍정적인 실적을 발표했음에도 완벽하지 않은 실적으로 인해 주가가 급락하면서 역발상 투자자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는 상황이 연출됐다.
사노피는 2분기 ADR 주당 조정 순이익이 90센트(1.59유로)를 기록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96센트를 하회하는 수준이다. 매출액은 113.3억 달러(99.9억 유로)를 기록했으나, 이 역시 시장 전망치 115.3억 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매출과 이익 모두 시장 기대치를 밑돈 것은 주가 변동성을 야기할 만한 요인이었으며, 사노피 주가의 하락은 예상된 결과였다. 그러나 사노피는 주목할 만한 긍정적인 실적 요소들도 보여줬다.
특히 습진과 천식 등 염증성 질환 치료제인 듀픽센트의 매출이 21.1% 증가한 38.3억 유로를 기록했다. 백신 매출도 10.3% 증가한 12.1억 유로를 달성했다. 폴 허드슨 CEO는 신규 출시된 9개 의약품과 백신의 매출이 47.3% 성장하면서 전체적으로 10.1%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프랑수아 로제 CFO는 트럼프 관세가 2025년 사노피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명했다. 이는 미국 내 재고 포지션 덕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부적인 호재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들의 마음을 돌리지는 못했으며, 사노피 주가는 오후 거래에서 8% 이상 하락했다.
거시적 관점에서 볼 때 사노피 주가는 매력적인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주요 실적 지표는 기대치를 밑돌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다. 신규 치료제와 백신의 고무적인 실적을 고려하면 상승 여력이 있어 보인다. 다만 이는 이전 주가가 적정 수준이었고 결국 제자리를 찾을 것이라는 전제하의 분석이다.
솔직히 이것이 객관적으로 맞는지는 알 수 없다. 이는 시장이 좋은 소식과 나쁜 소식 모두에 과잉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는 우리의 경험에서 나온 관점이다. 그러나 우리는 더 넓은 의미를 생각해보는 경우가 드물다. 주가와 실적은 연속적인 스칼라 신호의 예시다. 이론적으로 무한히 상승할 수 있어 '좋은 가격'이나 '나쁜 실적'이 무엇인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주식 시장에서 우리가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사실 중 하나는 하루가 끝날 때 시장이 순매수자이거나 순매도자라는 점이다.
지난 10주를 돌아보면, 사노피 주식에 대해 시장은 4번의 매수와 6번의 매도를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사노피는 하락세를 보였다. 간단히 이 시퀀스를 4-6-D로 표시할 수 있다.
L10 카테고리 | 표본 크기 | 상승 확률 | 기준 확률 | 상승시 중간 수익률 |
1-9-D | 3 | 66.67% | 53.64% | 0.66% |
2-8-D | 7 | 42.86% | 53.64% | 2.73% |
3-7-D | 16 | 68.75% | 53.64% | 2.05% |
3-7-U | 3 | 0.00% | 53.64% | N/A |
4-6-D | 37 | 62.16% | 53.64% | 1.49% |
4-6-U | 17 | 58.82% | 53.64% | 0.87% |
5-5-D | 63 | 57.14% | 53.64% | 1.77% |
5-5-U | 39 | 46.15% | 53.64% | 1.05% |
6-4-D | 18 | 61.11% | 53.64% | 1.55% |
6-4-U | 46 | 43.48% | 53.64% | 1.38% |
7-3-D | 5 | 40.00% | 53.64% | 2.98% |
7-3-U | 39 | 53.85% | 53.64% | 1.36% |
8-2-U | 25 | 52.00% | 53.64% | 2.04% |
9-1-U | 5 | 60.00% | 53.64% | 0.23% |
공격적인 트레이더들의 경우 8월 15일 만기의 45.00/47.50 불 콜 스프레드를 고려해볼 만하다. 이는 45달러 콜을 매수하고 동시에 47.50달러 콜을 매도하는 거래로, 순비용은 100달러(최대 손실액)이다. 만기일에 사노피 주가가 매도 행사가(47.50달러)를 상회할 경우 최대 이익은 150달러로 150%의 수익률이 가능하다.
물론 이 거래가 성공하려면 사노피 주가가 단기간 내에 평균 이상의 성과를 내야 한다. 보다 보수적인 거래를 원한다면 동일한 콜 스프레드(45.00/47.50)를 9월 19일 만기로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최대 수익률은 약 108%로 감소한다.
2023년 10월 말의 급락 이후 반등했던 것처럼 사노피 주식은 극심한 변동성 이후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매수 측에 다시 한번 과감한 베팅의 기회가 열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