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하락했다.
중국과의 AI 패권 경쟁의 일환으로 미국 정부가 한국 기업들의 중국 내 반도체 공장에 대한 미국 장비 수출 면제 조치를 철회했다. 특히 엔비디아의 주요 AI칩 파트너사인 SK하이닉스가 직접적인 영향권에 들게 됐다.
이번 조치로 중국에서 전체 생산량의 약 3분의 1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두 기업에 상당한 압박이 가해질 전망이다. 반면 미국의 경쟁사 마이크론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 산업통상자원부는 미국 당국과 이번 발표에 대해 소통해왔으며,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안정을 위해 우리 기업들의 중국 내 공장 운영이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미 상무부는 이번 발표에서 중국 내 생산시설의 "생산능력 확대나 기술 업그레이드"를 허용하는 라이선스를 발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국 기업들을 경쟁적으로 불리하게 만드는 허점을 차단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증권가에서는 KLA, 램리서치,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등 중국 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첨단 반도체 제조장비를 공급하는 미국 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국내 반도체 장비 업체들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이미 AI를 미국과의 주요 경제 전장으로 보고 자국 기업들을 지원하고 있다. 올해 초 엔비디아의 H20 칩 수출이 금지된 이후, 중국 기업들에게 엔비디아 대신 국산 AI칩 구매를 독려하고 있다.
XTB의 캐슬린 브룩스 리서치 디렉터는 "미국의 관세와 중국의 국산 반도체 생산 드라이브로 인해 중국 문제가 미국 반도체 기업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다"며 "투자자들은 엔비디아가 중국 수요를 활용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면 중국 반도체 기업으로 투자를 전환할 수 있으며, 이는 주목해야 할 발전 중인 테마"라고 분석했다.
팁랭크스는 비교 도구를 통해 현재 가장 유망한 AI 관련 주식들을 선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