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알파벳 산하 구글(GOOG)에 온라인 광고 사업 관련 불공정 행위로 29.5억유로(약 3.2억달러)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이번 제재는 구글이 자사 광고 서비스를 경쟁사 대비 우대했다는 '자사 우선' 혐의에 따른 것이다. 구글은 60일 이내에 시정 방안을 제출해야 하며, 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광고 사업부 매각 등 더 강력한 조치에 직면할 수 있다.
테레사 리베라 EU 경쟁담당 집행위원은 "시정 조치는 해당 행위를 중단시키기 위해 필요하고 비례적이어야 한다"며 "현 단계에서 구글의 이해상충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애드테크 사업부 일부 매각과 같은 구조적 조치가 유일한 해결책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EU는 2018년에도 안드로이드 모바일 시스템 관련 41.2억유로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구글은 이번 결정에 반발했다. 회사 측은 항소 방침을 밝히며 과징금이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리앤 멀홀랜드 구글 글로벌 규제 담당 책임자는 "이번 조치로 인해 수많은 유럽 기업들이 수익 창출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정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은 트루스소셜을 통해 이번 과징금을 "매우 불공정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유럽이 뛰어나고 전례 없는 미국의 혁신을 이렇게 다루도록 놔둘 수 없다"고 주장하며, 유럽 상품에 대한 새로운 관세 부과로 이어질 수 있는 무역 조사에 착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번 결정은 브뤼셀과 워싱턴이 7월 말 합의한 무역 협정을 논의하는 시점과 맞물렸다. 소식통에 따르면 EU의 마로시 셰프초비치 통상담당 집행위원은 협상에 대한 우려로 이번 주 초 발표를 연기했다. 그는 이후 리베라의 구글 제재를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혔다.
한편 구글은 작년 미국에서도 불법 독점 판결을 받은 바 있다. 규제 당국은 크롬 브라우저나 안드로이드 시스템 분할을 법원에 요청했으나, 이번 주 초 연방 판사는 이를 기각하고 대신 구글에 더 많은 데이터 공유와 독점 계약 중단을 명령했다.
이처럼 유럽과 미국 모두 구글의 광고 사업 관행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과징금 규모와 이에 따른 무역 보복 위협은 규제 조치와 무역 정책이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다.
월가는 구글에 대해 강력 매수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평균 목표주가는 235.42달러로 현재가 대비 0.11%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