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는 9월 23일 2025 회계연도 4분기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며, 월가는 주당순이익 2.78달러, 매출 111억2000만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실적 발표를 앞두고 서스케하나와 울프 리서치의 톱 애널리스트들이 MU 주식의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하고 매수 등급을 재확인하며 이 메모리 반도체 업체에 대한 낙관적 전망을 드러냈다. 이 두 애널리스트의 강세 전망 이유를 살펴보자.
서스케하나의 메디 호세이니 애널리스트는 목표주가를 160달러에서 2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마이크론의 수익력이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는 회사가 4분기에 예상보다 좋은 실적을 발표하고 전망을 상향 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5성급 애널리스트는 2026년 고대역폭 메모리(HBM) 가격 하락 우려를 일축하며 수요가 견고할 것이라고 말했다. 호세이니는 2025년 HBM3e에서 2026년 HBM4로의 전환이 가격을 최소 50% 끌어올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GDDR7, 엔터프라이즈 SSD, DRAM의 성장이 강세를 더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이 애널리스트는 메모리 업체들이 지출을 절제하고 있어 공급과 가격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말했다. 2026년 장비 비용이 상승하더라도 매출이 더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이 높아지면서 호세이니는 마이크론의 수익력이 아직 주가에 완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마찬가지로 울프 리서치의 크리스 카소 애널리스트도 목표주가를 160달러에서 180달러로 상향 조정하면서 아웃퍼폼 등급을 유지했다. 그는 8월 긍정적인 사전 공시 이후 마이크론의 전망이 개선됐다며, 하드 드라이브 부족으로 인한 낸드 수요 강화와 서버 강세에 힘입은 DRAM 가격 개선을 언급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현재 2026 회계연도 매출을 495억 달러, 주당순이익을 13.13달러로 전망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이전 예측을 약간 웃도는 수준이다. 2027 회계연도에는 HBM 60% 성장, 낸드 14% 성장, DDR 보합에 힘입어 매출 563억 달러, 주당순이익 16.43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카소는 앞으로 HBM이 2027년 마이크론의 "중요한 콘텐츠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이크론 주식은 월가 애널리스트 29명 사이에서 컨센서스 적극매수 등급을 받고 있다. 이 등급은 최근 3개월간 매수 25개, 보유 4개 추천에 기반한다. MU 평균 목표주가 157.33달러는 현재 수준 대비 1.66% 하락 여력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