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5월 연휴 한시 특별할인 이벤트](https://img.wownet.co.kr/banner/202504/2025043082721762a73c4b0d9da349268af4fb4f.jpg)
미국 제6순회 항소법원이 망중립성에 종지부를 찍었다.
주요 내용
1월 2일, 법원은 연방통신위원회(FCC)가 브로드밴드를 통신법 제2장에 따른 '통신 서비스'로 재분류할 법적 권한이 없다고 판결했다. 대신 신시내티 소재 제6순회 항소법원의 3인 판사단은 브로드밴드를 '정보 서비스'로 규정했다. 이 구분은 중요한데, '정보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규제 감독을 받기 때문이다.
이번 판결로 2015년 오바마 행정부 당시 처음 수립된 규정이 사실상 뒤집혔다. 당시 규정은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ISP)가 특정 웹사이트나 서비스의 속도를 제한하거나 접근을 차단하거나 요금을 받고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것을 금지했다. 첫 트럼프 행정부는 2017년 이 규정을 폐지했다. FCC는 지난 4월 브로드밴드를 재분류하여 망중립성을 복원하기로 투표했다. 이번 새로운 판결로 그 시도는 결정적으로 무산됐고, 이는 퇴임을 앞둔 바이든 행정부의 주요 패배로 기록됐다.
시장 영향
이번 결정은 미국인들의 인터넷 접속과 요금 지불 방식을 재편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서비스제공업체들에게는 승리의 순간을 안겨주는 반면, 소비자들과 기술 대기업들을 저속 차선에 방치할 가능성이 있다.
망중립성의 강력한 지지자인 제시카 로젠워셀 FCC 위원장은 의회에 개입하여 개방형 인터넷을 위한 법안을 마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2024년 망중립성 복원에 반대표를 던졌던 차기 FCC 위원장 브렌단 카는 법원의 결정을 환영했다. 그는 바이든의 규정 복원 시도를 "인터넷 권력 장악"이라고 비난했다.
대형 통신사들의 환영
이번 판결은 컴캐스트(NASDAQ:CMCSA), 버라이즌(NYSE:VZ), AT&T(NYSE:T) 등 ISP들에게 승리를 안겨줬다. 이들 기업은 이제 규제 제약 없이 네트워크를 자유롭게 관리할 수 있게 됐다. 이들 기업은 계층화된 가격 모델을 탐색하고, 특정 유형의 트래픽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며, 콘텐츠 제공업체에게 더 빠른 전송에 대한 요금을 부과할 수 있게 됐다.
장비 제조업체들의 수혜 가능성
시스코 시스템즈(NASDAQ:CSCO), 에릭슨, 노키아(NYSE:NOK) 등 네트워크 인프라 제공업체들은 ISP들이 네트워크 업그레이드 및 확장을 위한 자본 지출을 늘리면서 혜택을 볼 수 있다.
소비자들의 손실
일반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이번 결정의 함의는 불분명하고 잠재적으로 암울하다. ISP들은 규제 완화가 더 나은 서비스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소비자들은 동일한 인터넷 접속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될 수 있다.
스타트업, 중소기업의 경쟁력 약화
인터넷에 대한 동등한 접근에 의존하는 스타트업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망중립성이 없는 세상에서는 자금력이 풍부한 기술 기업들은 속도 우위에 대한 비용을 지불할 여력이 있지만,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은 더 느린 연결과 높은 비용에 직면하여 경쟁력이 제한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