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분석

美 전기요금 30% 폭등...트럼프 `풍력발전 탓` 주장에 논란

2025-08-25 20:05:50
美 전기요금 30% 폭등...트럼프 `풍력발전 탓` 주장에 논란

미국의 가정용 전기요금이 2021년 이후 약 30% 급등했으며, 지난해에만 5.5% 추가 상승했다. 이는 전체 물가상승률의 2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가계에 큰 부담이 되고 있다. 미 에너지정보청(EIA)은 2026년에도 6% 추가 인상을 예고해 당분간 전기요금 부담이 지속될 전망이다.


요금 인상의 주요 원인은 데이터센터의 기록적인 전력 수요와 새로운 전력 인프라 구축에 투입된 수십억 달러의 비용이다. 전력회사와 가스 생산업체, 재생에너지 개발업체들은 수요 증가의 수혜를 입었지만, 정치적 후폭풍이 거세지고 있다. 소비자들이 비용 부담을 떠안게 되면서 불만이 정치권으로 번지고 있는 상황이다.



트럼프, 요금 인상 원인으로 재생에너지 지목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전기요금 문제를 정치 이슈화하고 있다. 최근 그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풍력발전과 태양광 발전에 의존한 주들이 전기·에너지 비용의 기록적인 증가를 겪고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특히 뉴저지주를 지목하며 풍력발전 때문에 요금이 급등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실제로 뉴저지주의 풍력발전기는 6기에 불과하며, 전체 전력 생산량의 0.03%도 되지 않는다. 텍사스와 아이오와 등 재생에너지 비중이 높은 주들의 전기요금은 오히려 더 낮은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공격이 경제적 논리보다는 에너지 문화전쟁의 일환이라고 지적한다.



트럼프 정책이 요금 인상 초래했다는 비판


소비자 단체들은 요금 인상의 일부 원인이 트럼프의 정책에 있다고 반박한다. 그의 관세 정책으로 전력회사들의 비용이 증가했고, 에너지부의 새로운 지침으로 노후 석탄·석유 발전소의 가동이 강제되었다. 수주간의 운영에만 수천만 달러가 소요되는 이러한 비용은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있다.



보조금 축소와 가스비 상승 영향


새로운 세법에 따른 태양광·풍력 보조금 축소도 요금 인상 요인이 될 전망이다. 태양광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발전원이었으나, 인센티브 축소로 도매가격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 전력망의 중추인 천연가스 가격도 수요 증가와 수출 확대로 상승세를 보이며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데이터센터 비용 부담 논란


빅테크 기업들이 더 많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데이터센터의 급증으로 전력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전력회사들이 이들 시설을 위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천연가스 발전소를 건설할 때, 그 비용을 일반 가정이 아닌 기술기업들에 더 많이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데이터센터 자체가 부담 완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연중 최대 수요 시간대에 몇 시간만 운영을 중단해도 전력망 부하를 줄이고 소비자 요금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비용을 더 공정하게 분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당분간 전기요금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회사들은 장비 부족과 원가 상승에 직면해 있고, 데이터센터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트럼프가 풍력과 태양광을 계속 공격하면서 책임 소재를 둘러싼 정치적 논쟁도 더욱 격화될 전망이다.


결국 미국 가계가 이러한 비용을 떠안고 있는 상황이다. 새로운 정책으로 부담을 분산시키지 않는 한, 소비자들은 매년 더 많은 전기요금을 지불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