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예측
  • 메인
  • NEWS
  • 최신뉴스

메이시스, 실적 호조에도 신중한 전망 제시

2025-09-05 09:01:29
메이시스, 실적 호조에도 신중한 전망 제시

메이시스(M)가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메이시스는 이번 실적발표에서 견조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향후 소비자 행태에 대해 신중한 전망을 제시했다. 회사는 견고한 소비지출과 성공적인 럭셔리 전략에 힘입어 동일매장 매출과 조정 EPS가 크게 개선됐다고 밝혔다. 다만 관세가 매출총이익률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전망에 대한 우려는 전반적인 낙관론을 제한했다.


동일매장 매출 크게 증가


메이시스의 동일매장 매출은 1.9% 증가했으며, 고포워드(GoForward) 사업부문은 2.2% 증가해 12분기 만에 최고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경쟁이 치열한 소매 환경에서 회사의 전략이 효과를 거두고 있음을 보여준다.


블루밍데일스 호조세 지속


블루밍데일스는 동일매장 매출이 5.7% 증가하며 2분기 사상 최고 매출과 고객만족도를 기록했다. 이는 브랜드의 강력한 시장 입지와 소비자 선호도를 반영한다.


견고한 소비지출


상반기 전반에 걸쳐 소비지출이 견고했으며, 이러한 모멘텀은 3분기까지 이어졌다. 전반적인 경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소비 회복세가 메이시스의 긍정적인 매출 실적을 견인했다.


조정 EPS 개선


메이시스의 조정 EPS는 0.41달러를 기록해 기존 가이던스인 0.15~0.20달러를 크게 상회했다. 이는 견조한 매출 실적과 엄격한 비용 관리에 기인한다.


럭셔리 전략 성과


블루밍데일스와 블루머큐리 모두 긍정적인 매출 추세를 유지했으며, 블루머큐리는 18분기 연속 동일매장 매출 증가를 달성했다. 이는 고급 소비자 수요를 확보하는 데 성공한 메이시스의 럭셔리 전략을 입증한다.


부채 만기 연장


메이시스는 장기 부채 만기를 3년 연장해 2030년까지 주요 만기가 도래하지 않는다. 이는 자본구조 관리에 있어 더 큰 재무적 유연성을 제공한다.


관세가 매출총이익률에 미치는 영향


연간 가이던스에 반영된 관세의 매출총이익률 영향은 기존 20~40bp에서 40~60bp로 상향 조정됐다. 이는 무역정책이 메이시스의 수익성에 미치는 지속적인 도전을 반영한다.


순매출 감소


메이시스의 순매출은 48억 달러로 전년 대비 2.5% 감소했다. 이는 64개 비고포워드 매장 폐쇄에 따른 영향이다.


매출 대비 판관비 비중 증가


판관비는 절대액으로 2,900만 달러 감소했음에도 매출 대비 비중이 전년 38.7%에서 38.9%로 상승했다. 이는 지속적인 비용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신중한 소비자 전망


메이시스는 연말까지 소비자 행태에 대해 신중한 전망을 제시했으며, 관세와 선별적 소비 증가의 잠재적 영향을 우려했다. 이는 향후 도전과제 극복을 위한 전략적 조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향후 전망


메이시스는 2025 회계연도에 대해 순매출 211.5억~214.5억 달러, 조정 EPS 1.70~2.05달러를 전망했다. 이 가이던스는 매출총이익률에 대한 40~60bp의 관세 영향과 이에 따른 0.25~0.40달러의 EPS 영향을 반영한다. 회사는 연말까지 소비자들의 선별적 소비가 예상됨에 따라 소비 환경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종합하면, 메이시스의 실적발표는 견조한 실적과 신중한 낙관론을 균형있게 보여줬다. 회사는 상당한 매출 성장과 수익성 개선을 달성했지만, 관세 영향과 신중한 소비자 전망 등의 도전과제가 남아있다. 투자자들은 향후 분기에 메이시스가 이러한 상황을 어떻게 헤쳐나갈지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