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예측
  • 메인
  • NEWS

카말라 해리스의 폭리 규제안에 식료품업계 반발... "소비자와 같은 인플레 압박에 시달려"

2024-08-21 01:05:17
카말라 해리스의 폭리 규제안에 식료품업계 반발...
식품 업계가 카말라 해리스(Kamala Harris) 부통령의 식료품점 가격 폭리에 대한 연방 금지 제안을 거부하고 나섰다.

이 계획은 대형 슈퍼마켓과 식품 생산업체 간의 잠재적 합병에 대한 감시 강화와 함께 연방 차원의 가격 인상 금지를 요구하고 있다.

식품 소매업체와 공급업체를 대표하는 무역 단체인 FMI의 부사장 앤디 해리그(Andy Harig)는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이러한 가격 충격과 그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만을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자동적으로 뭔가 악의적인 것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우리가 보기에 너무 단순화된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식료품협회(National Grocers Association)는 해리스의 제안이 독립 식료품점들도 고객들과 마찬가지로 인플레이션 압박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협회는 성명을 통해 "노동, 임대료, 수수료, 공과금 등 모든 것의 가격이 올랐다"면서 "하지만 우리 지역의 독립 식료품점들을 정말로 힘들게 하는 것은 대형 소매업체들과의 공정한 경쟁이 부족하다는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대형 업체들은 길 건너편의 독립 식료품점이 할 수 없는 방식으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이는 결국 다른 모든 이들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협회는 현 정부와 차기 정부가 독립 식료품점과 그 고객들의 가격을 올리는 가격 차별을 포함한 반경쟁적 행위를 면밀히 살펴보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또한 워싱턴이 1936년 가격 폭리를 억제하기 위해 제정된 반독점법인 로빈슨-패트먼법을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회는 "워싱턴이 소비자 가격 인하에 진지하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면 세 가지 중요한 방법으로 도울 수 있다"며 "급등하는 수수료를 낮추고, 과도하고 부담스러운 규제를 억제하며, 규모나 위치에 관계없이 소매업체 간 가격 경쟁을 강화하는 로빈슨-패트먼법과 같은 반독점법을 집행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