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아마존닷컴(NASDAQ:AMZN)의 실적발표 직후 주가가 4% 하락하며 투자자들의 우려를 자아냈다. 하지만 이는 투자 전략을 바꿀만한 수준일까.
월가는 '불규칙한'이라는 표현에서 '장기 성장'이 아닌 '변동성'을 읽어냈다. AWS 성장세는 2025년 상반기 둔화 후 하반기 반등이 예상된다. 앤디 재시 CEO는 공급망 제약이 완화될 것이라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다만 이는 엔비디아(NASDAQ:NVDA)의 칩과 트레이니움2, 기타 기술적 병목현상 해소가 전제돼야 한다. 안무스는 2025년 상반기 AWS 18% 성장, 하반기 20% 이상 성장을 전망하며 낙관적 입장을 유지했다.
아마존의 2025년 설비투자 전망치 1050억 달러는 시장 예상을 크게 상회해 일부 투자자들의 잉여현금흐름 우려를 자아냈다. 하지만 안무스는 AI 투자가 결실을 맺을 것이며, 이는 메타플랫폼스(NASDAQ:META)와 알파벳(NASDAQ:GOOGL)(NASDAQ:GOOG)이 누리는 것과 같은 경쟁우위로 이어질 것이라 분석했다.
제본스의 역설이 적용된다면, 추론 비용 감소로 고객들의 AI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늘어 AWS 매출이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
클라우드 외에도 아마존의 해외 사업은 특히 독일에서 성장 둔화 등 거시경제적 역풍에 직면해 있다. 환율 압박과 작년 윤년 효과도 1분기 매출 비교를 어렵게 만든다. 다만 당일배송 확대와 로봇 활용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물류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다.
결론적으로 안무스는 아마존이 전자상거래와 클라우드 양면에서 다년간 승자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단기 변동성은 있겠지만, 목표주가 270달러는 아마존의 AI 수익화와 영업이익률 확대에 대한 확신을 반영한다. 장기 투자자들에게는 단기 변동성보다 성장성에 주목하라는 메시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