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와우글로벌] 썸머 핫 이벤트 뉴스 멤버십](https://img.wownet.co.kr/banner/202507/202507142f7a6d19127a4858af68c5b1c48d9fb7.jpg)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연합(EU)의 디지털서비스법(DSA)에 대해 표현의 자유 침해와 미국 기술기업들의 잠재적 재정 손실을 우려해 유럽 주재 미국 외교관들에게 반대 로비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8월 4일 유럽 주재 미국 외교관들에게 EU 정부와 디지털서비스 당국을 접촉해 DSA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전달하라고 지시했다.
혐오 발언과 아동 성착취물 등 불법 콘텐츠 규제를 기술 기업들에 의무화하는 DSA는 표현의 자유를 침해할 수 있다는 이유로 미국의 비판을 받아왔다.
국무부의 '조치 요청' 지침은 EU법 개정을 위한 구체적인 제안과 이를 뒷받침하는 논리를 미국 외교관들에게 제시했다. EU는 이전에 DSA는 EU-미국 무역협상 대상이 아니라고 밝힌 바 있다.
국무부 지침은 미국 시민과 기업에 대한 검열 의혹을 조사하고, EU법 개정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권고안을 제시하도록 외교관들에게 지시했다.
EU 반독점·기술 담당자들은 지난 3월 미국 의원들에게 새로운 기술 규제가 '미국 기술 대기업들을 겨냥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번 지침은 '미국의 표현의 자유 전통'을 수호하려는 행정부의 노력이 강화된 것으로, 이미 긴장 관계에 있는 미-EU 관계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JD 밴스 부통령이 2월 독일 극우 정당 AfD 등에 대한 유럽 지도자들의 검열을 비판하며 이러한 정책 기조를 강조했다.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모회사인 메타 플랫폼스(NASDAQ:META)를 포함한 미국 기술기업들도 DSA가 자사 플랫폼에 대한 검열이라며 비판해왔다.
7월 초 구글(NASDAQ:GOOG)(NASDAQ:GOOGL)은 AI 오버뷰 기능과 관련해 EU 독립 출판사들로부터 반독점 제소를 당했다. 이후 영국 경쟁시장청은 시장 지배력 조사 후 애플과 구글의 모바일 생태계에 대한 대대적인 변화를 제안했다. 같은 시기 애플(NASDAQ:AAPL)은 앱스토어 규정과 수수료 변경을 수용함으로써 EU의 일일 과징금을 피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