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EU의 디지털서비스법(DSA)을 강하게 비판하며 EU 관리들에 대한 제재와 관세 부과 가능성을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월요일 트루스소셜을 통해 EU가 미국 기술기업들을 부당하게 표적으로 삼으면서 중국 기업들에게는 '완전한 면죄부'를 주고 있다고 비난했다.
그는 "이러한 차별적 조치가 철회되지 않으면 미국 대통령으로서 해당 국가의 대미 수출품에 대해 상당한 추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미국과 미국 기술기업들은 더 이상 세계의 '돼지 저금통'이나 '발 닦는 매트'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미국과 우리의 놀라운 기술기업들을 존중하라. 그렇지 않으면 그 결과를 감당하라"며 경고를 마무리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DSA 시행을 담당하는 EU 및 회원국 관리들에 대해 비자 금지 조치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제재 조치는 규제 분쟁에서 이례적인 것으로, 유럽의 기술 규제에 대한 미 행정부의 반대 캠페인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발효된 DSA는 온라인 플랫폼들에 불법·유해 콘텐츠를 더 신속히 제거할 것을 요구하며, 메타플랫폼스(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운영사)와 일론 머스크의 X(구 트위터)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에 더 무거운 규제 준수 비용을 부과했다.
7월에는 알파벳의 구글이 AI 오버뷰 도구와 관련해 EU 독립 출판사들로부터 반독점 제소를 당했다.
같은 달 영국 경쟁시장청은 애플과 구글의 시장 지배력 조사 후 모바일 생태계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을 제안했다.
이 무렵 애플은 앱스토어 정책과 수수료 체계 개정에 동의하면서 EU의 일일 과징금을 피할 수 있게 됐다.
미국 관리들은 DSA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고 미국 기업들을 불공정하게 표적으로 삼고 있다고 주장한다.
앞서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미국 외교관들에게 EU 정부와 규제당국을 상대로 DSA의 개정이나 철회를 위한 로비를 지시했다.
5월에는 미국인들을 검열한 혐의가 있는 외국 관리들에 대해 비자 금지를 경고한 바 있다.
국무부 대변인은 제재 계획을 확인해주지는 않았지만 "유럽의 검열 증가를 매우 우려스럽게 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럽연합 집행위원회는 미국의 주장을 "완전히 근거 없는 것"이라고 일축했다.
EU 대변인은 "표현의 자유는 EU의 기본권"이라며 "DSA는 표현의 자유를 보호하면서 불법 콘텐츠를 다루기 위한 온라인 중개자들의 명확한 규칙을 설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