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동남아시아 국가 라오스가 증가하는 부채 부담을 완화하고 잉여 전력을 활용하기 위해 암호화폐 채굴에 나선다고 수요일 보도됐다.
메콩강을 따라 건설된 다수의 수력발전 프로젝트로 '동남아시아의 배터리'를 꿈꾸는 라오스에 전력 잉여 현상이 발생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에너지 붐은 댐 건설 자금을 지원한 중국 대출과 외국 기업들에 대한 상당한 부채 증가로 이어졌다.
라오스 정부는 현재 잉여 전력을 경제적 이익으로 전환하고 국가 부채를 줄이기 위해 현지 암호화폐 거래 플랫폼과 채굴 사업에 대한 라이선스를 발급하고 있다. 다만 당국은 디지털 자산의 변동성과 관련된 위험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더욱이 환경운동가들은 암호화폐로의 전환이 부채 문제를 악화시킨 국가의 '결함 있는' 에너지 전략의 더 깊은 문제를 보여주는 신호라고 지적한다.
라오스는 세계 5대 현존 공산주의 국가 중 하나로 1975년부터 라오인민혁명당이 통치하고 있다.
라오스의 암호화폐 채굴 전환은 다른 국가들의 유사한 전략을 반영한다. 히말라야 국가 부탄은 환경 목표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수력 자원을 비트코인(CRYPTO: BTC) 채굴에 활용해왔다.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에 따르면 현재 부탄은 13억1000만 달러 상당의 9,652 BTC를 보유하고 있다. 부탄의 비트코인은 미국과 달리 법 집행 기관의 압수가 아닌 자체 개발한 채굴 능력을 통해 확보했다.
비슷하게 파키스탄도 지난 5월 잉여 전력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비트코인 채굴과 인공지능 데이터 센터에 2000메가와트의 전력을 할당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지난달에는 프랑스도 자국 원자력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잉여 전력을 활용한 비트코인 채굴을 검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