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NASDAQ:AAPL)이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의 수입 승인을 받아 애플워치의 혈중산소 측정 기능을 재개했으나, 의료기술 기업 마시모(NASDAQ:MASI)가 이에 대해 법적 대응에 나섰다. 마시모, 세관국경보호청 권한 남용 주장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마시모는 17일(현지시간) 워싱턴 D.C.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마시모는 세관국경보호청이 자사에 통보 없이 기존 결정을 부적절하게 번복했다고 주장했다. 이번 소송은 애플이 특허 분쟁으로 미국 모델에서 비활성화했던 혈중산소 측정 기능을 재개한다고 발표한 직후 제기됐다. 마시모는 세관국경보호청이 국제무역위원회(ITC)의 수입 금지 명령에 '허점'을 만들 권한이 없다고 주장했다. ITC는 2023년 애플이 마시모의 맥박산소측정 특허를 침해했다고 판단해 애플워치 시리즈9와 울트라2의 수입을 금지했다. 마시모는 소장에서 "세관국경보호청의 역할은 ITC 수입금지 명령을 집행하는 것이지, 이를 무력화하는 허점을 만드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