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여름, 나스닥100 지수는 3년간 300%라는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봄철 변동성이 급격히 치솟으면서 주가가 천정부지에서 하락하기 시작했다는 신호가 포착됐다. 닷컴버블이 붕괴된 순간이었다. 25년이 지난 지금, 주식 버블을 측정하는 익숙한 지표가 미국 시장의 고평가 수준이 당시의 열광적인 시기 이후 최고치에 도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Source: Multpl.com (실러 PE)
실러 PE, 2000년 닷컴버블 수준 근접 실러 주가수익비율(PE)―순환조정 PE 또는 CAPE로도 알려진―이 40.08까지 상승했다. 이는 닷컴 붕괴 직전인 2000년 여름 이후 역사상 한 번도 보지 못한 수준이다. 노벨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가 개발한 실러 PE는 10년 기간의 인플레이션 조정 수익을 평활화한 지표다. 단기 노이즈를 제거하고 시장 가치평가의 장기 바로미터로 자주 사용된다. 40을 넘어선 최근 수치는 역사적 평균인 17.29보다 130% 이상 높은 수준으로, 심각한 고평가를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