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준석] TV스페셜](https://img.wownet.co.kr/banner/202508/2025082621c6d0c271f84886a953aee25d7ba0c0.jpg)




금 선물이 4007달러를 기록하며 저항선인 1구간에 도달했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금값 5000달러 전망이 나오는 등 모멘텀 투자자들의 낙관론이 고조되고 있다. 외국인들 사이에서 달러 대신 금을 보유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어 미국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스마트머니는 금 매수세가 지속되는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는 미국 증시와 AI 관련주에 큰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번에는 상황이 다르다는 분석도 나온다. 금 투자 전문가들이 현 시점에서 매수를 자제하고 있으며, 실물 금에 대한 수요도 약한 상태다. 현재의 매수세는 대부분 모멘텀 투자자들에 의한 것으로, 이들은 분석 없이 단순히 상승세만 좇아 매수에 나서고 있다.
주요 내용
매그니피센트 7 자금 흐름
초반 거래에서 아마존, 메타플랫폼스, 엔비디아는 자금 유입이 긍정적이다.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는 중립적이며, 알파벳 C클래스와 테슬라는 자금 유출을 보이고 있다. SPY와 QQQ ETF는 자금 유입이 긍정적이다.
비트코인 동향
비트코인은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투자 전략
장기 보유 중인 우량 포지션은 유지하되, 개별 투자자의 리스크 성향에 따라 현금이나 국채, 단기 전술적 거래, 단중기 헤지 포지션으로 구성된 보호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투자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현금 보유가 중요하다.
전통적 60/40 포트폴리오
현 시점에서는 장기 채권의 전략적 배분이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위험 대비 수익률 측면에서 유리하지 않다. 채권 투자 시에는 우량 채권과 5년 이하 만기 채권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