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목예측
  • 메인
  • NEWS

다우존스 선물 하락·나스닥 상승...UPS·유나이티드헬스·3D시스템즈 주목

2025-10-28 18:53:38
다우존스 선물 하락·나스닥 상승...UPS·유나이티드헬스·3D시스템즈 주목

화요일 미국 주식 선물은 전일 상승세 이후 혼조세를 보였다. 주요 지수 선물은 엇갈린 움직임을 나타냈다.


월요일 주요 지수들은 새로운 기록을 세웠다.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미국 무역협상단이 중국 측과 '매우 성공적인 프레임워크'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조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잠재적 회담을 앞두고 나온 진전이다.


연방준비제도(Fed)는 수요일 금리 결정을 발표할 예정이다.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3.48%, 2년물은 3.50%를 기록했다. CME 그룹의 페드워치 도구에 따르면 시장은 10월 연준 회의에서 현재 금리 인하 가능성을 97.8%로 예상하고 있다.


선물변동폭(+/-)
다우존스-0.03%
S&P 500-0.05%
나스닥 1000.03%
러셀 2000-0.41%

S&P 500 지수와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SPDR S&P 500 ETF(NYSE:SPY)와 인베스코 QQQ 트러스트 ETF(NASDAQ:QQQ)는 화요일 장전 거래에서 혼조세를 보였다. 벤징가 프로 데이터에 따르면 SPY는 0.034% 하락한 685.01달러, QQQ는 0.030% 상승한 628.28달러에 거래됐다.



주목할 종목


UPS


  • UPS(NYSE:UPS)는 화요일 장전 거래에서 0.25% 하락했다. 증권가는 개장 전 발표될 실적에서 주당순이익 1.31달러, 매출 208.3억 달러를 예상하고 있다.
  • 벤징가 엣지 주식 순위에 따르면 UPS는 단기적으로는 강세를 보였으나 중장기적으로는 약세를 나타냈으며, 보통 수준의 품질 순위를 기록했다.

유나이티드헬스그룹


  • 유나이티드헬스그룹(NYSE:UNH)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0.0055% 상승했다. 증권가는 최근 분기 주당순이익 2.81달러, 매출 1,130.6억 달러를 전망하고 있다.
  • UNH는 장기적으로는 약세를 보였으나 중단기적으로는 강세를 나타냈으며, 보통 수준의 품질 순위를 기록했다.

카메코와 브룩필드 자산운용


  • 카메코(NYSE:CCJ)는 9.67%, 브룩필드 자산운용(NYSE:BAM)은 3.52% 상승했다. 두 회사는 미국 정부와 함께 최소 800억 달러 규모의 웨스팅하우스 원자력 발전소 신규 건설을 위한 혁신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 벤징가 엣지 주식 순위에 따르면 CCJ는 단기, 중기, 장기 모두 강세를 보였으나, 가치 순위는 낮았다.

3D시스템즈


  • 3D시스템즈(NYSE:DDD)는 9.45% 상승했다. 사우디 합작회사 NAMI가 사우디 전력공사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고, 록히드마틴(NYSE:LMT)과 항공우주 부품 협력을 시작했으며, 현대 동위원소 공장과 2,600만 달러 규모의 제조 계약을 체결하는 등 주요 성과를 달성했다.
  • 벤징가 엣지 주식 순위에 따르면 DDD는 단기, 중기, 장기 모두 강세를 보였으나, 성장 순위는 낮았다.

웨이스트 매니지먼트


  • 웨이스트 매니지먼트(NYSE:WM)는 월요일 장 마감 후 발표된 3분기 실적이 예상을 하회하면서 2.51% 하락했다.
  • WM은 단기, 중기, 장기 모두 약세를 보였으며, 성장 순위도 낮았다.


전일 시장 동향


월요일 S&P 500 지수에서는 정보기술, 통신서비스, 경기소비재 섹터가 가장 큰 상승을 기록하며 대부분의 섹터가 상승 마감했다.


다만 필수소비재와 소재 섹터는 전체 시장 흐름과 달리 하락 마감했다.


지수등락률(+/-)종가
나스닥 종합1.86%23,637.46
S&P 5001.23%6,875.16
다우존스0.71%47,544.59
러셀 20000.28%2,520.44


전문가 분석


제레미 시겔 교수는 견고한 기업 실적이 관세 우려를 상쇄하며 다음 주 시장 흐름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핵심 이벤트인 FOMC 회의에서는 "25bp 금리 인하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러한 견해는 지난주 "물가상승률 둔화"와 핵심 CPI의 약 40%를 차지하는 주거비용이 "실제 데이터를 반영해 하락하고 있다"는 증거에 기반한다.


시겔은 펀더멘털이 견고하다고 강조했다. "실적이 현재 시장의 동력이며, 매우 강세"라고 언급하며 대형 기술주를 넘어 시장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세 관련 "가격 변동"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새로운 인플레이션 물결이 아닌 "일시적인 상대가격 조정"이라고 보고 있다. 실물경제도 "여전히 양호한 모습"이다.


시장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시겔은 투자심리가 여전히 신중하다고 평가했다. 포지셔닝이 "여전히 헤지되어 있고 회의적"이라고 관찰했다. 이를 건전한 신호로 보며 "과열 국면이 아니다"라고 언급하면서 S&P 500이 실적 성장과 함께 "7,000선을 향해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을 유지했다.



주요 경제지표 일정


화요일 투자자들이 주목할 경제지표는 다음과 같다:


  • 오전 9시 8월 S&P 케이스-쉴러 20개 도시 주택가격지수, 오전 10시 10월 소비자신뢰지수가 발표된다.


원자재, 금, 암호화폐, 글로벌 증시


뉴욕 거래 초반 원유 선물은 1.92% 하락한 배럴당 60.13달러 수준에서 거래됐다.


금 현물은 2.03% 하락한 온스당 3,900.94달러에 거래됐다. 최근 최고치는 4,381.6달러였다. 미 달러 인덱스는 0.05% 하락한 98.7350을 기록했다.


한편 비트코인은 0.65% 하락한 114,373.87달러에 거래됐다.


아시아 증시는 화요일 하락 마감했다. 인도 NIFTY 50, 호주 ASX 200, 한국 코스피, 일본 닛케이 225, 홍콩 항셍, 중국 CSI 300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유럽 증시는 장 초반 혼조세를 보였다.

이 기사는 AI로 번역되어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